[금융 상품] 달러의 역사 - 미국이 기축통화 지위를 버릴 수 밖에 없는 이유 (월가아재)

Quant|2022. 9. 7. 16:34
반응형

아래 영상을 참고해 작성했습니다.

 

주요 통화의 역사

 

19세기 ~ 1차세계 대전에는: 영국의 금본위제 기반의 파운드화가 기축통화 역할을 했습니다.

1차세계 대전이 끝나며 영국의 수출경쟁력 악화로 금 유출이 가속화 되면서, 금 유출 발생 및 금 본위 중단되었죠

이후 영국의 금 본위 부활하긴 했지만 환율을 1차세계 대전 이전과 같이 유지하면서 금 유출 가속화되었습니다.

 

따라서 영국은 채무국으로 몰락, 채권자의 미국의 금소유가 증가하게 되었죠.

 

반면 미국은 브레튼 우즈 체제를 구축해 영국에서 유출된 금 독점하고 금태환을 실시했습니다.

그 대가로 미국의 해군력과 자국시장을 타국에 제공하며 달러가 기축통화로 부상했죠.

 

하지만 트리핀의 딜레마가 발생하며 미국은 전세계의 달러 사용을 위해 달러 발행을 늘려 가치를 낮추거나, 

달러 가치를 지키기 위해 달러 발행을 줄여 국제무역에서 달러 부족을 야기할지 선택을 해야했습니다.

 

결국 일본과 영국의 급 부상으로 미국의 적자가 발생하고,

베트남전으로 미국의 재정 지출이 늘어나는 상황이 발생

 

달러의 신뢰도는 떨어지고, 금태환 요구증가로 금 유출이 발생하며

브레튼 우즈 체제는 무너지게 되었다.

 

사태를 해결하고자, 1971년 닉슨 대통령이 금 태환 제도를 폐지, 신용 화폐 시스템을 도입했다.

 

금본위제가 달러가 금에 기반 했다면, 신용화폐 시스템은 신뢰를 기반으로 지폐를 사용한다.

 

 

그렇다면 미국은 어떻게 신용 화폐 시스템을 구축했을까?

1940년대 2차세계대전 사우디는 자국을 보호해줄 강대국이 절실했고, 미국은 원유의 중요성을 느껴며 둘의 이해관계가 맞았다.

 

사우디-미국의 비밀협약으로 미국은 사우디에서 원유를 수입하며 군사 원조를 해주고,

사우디는 원유 판매 대금으로 미국 국채를 구매해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를 유지시켰다.    

 

이를 페트로달러 시스템 일명 석유 본위제로 부른다.

사우디가 돈을 막 썼을 때 달러 = 원유이므로 돈을 쓴 만큼 원유를 생산해야 하는데, 

이는 달러가치의 하락으로 이어진다. 

그래서 미국채 매입을 요구한 것이고, 사우디 왕가 입장에서는 미국채는 자산을 은닉하기에 최고 수단이다.

 

왜 미국이 중동에 그렇게 관심이 많은지 이러한 맥락을 보면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페트로달러 시스템도 트리핀 딜레마가 존재한다.

 

전세계에 자국의 화폐를 공급하면, 

무역적자 발생 -> 화폐가치 하락 -> 값싼 물가 -> 수출 경쟁력 상승으로 자정작용이 발생해야 하는데, 미국의 달러는 금이나 원유에 달러가 묶여있기에 이러한 자정작용이 불가능했다.

 

금본위제 같은 경우 무역적자가 발생하면 화폐가치가 하락하는 것이 아니라, 가치가 있는 금유출이 발생한다.

페트로달러 시스템의 경우는 원유 유출이 아니라, 수출기반 산업과 제조 경쟁력이 유출 된다.

이로 Rust Belt라는 제조업 기반의 지역들이 무너지는 상황이 발생했다.

 

물론 기축통화가 이점도 있다.

돈을 찍어내도 화폐가치가 하락하지 않고, 다국적 기업이 진출하는데 이점이 있다.

미국채 수요로 인해 미국으로의 투자가 몰려 국채 금리를 낮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다면 왜 미국은 기축통화 지위를 버릴 수 있다고 말 하는 걸까?

크게 5가지 이유로 알 수 있다.

 

1. 냉전 후 불필요한 군비 지출

냉전, 원유, 기축통화 유지라는 세가지 명목으로 군비를 지출했지만, 냉전은 종료 되었고, 원유는 자국생산이 가능해졌다.

 

2. 중국의 부상

글로벌 경제의 미국 비중이 중국의 부상으로 40%에서 20%로 줄었다. 작아진 입지에 따른 기축통화 유지비용이 증가했다.

 

3. 경제안보

타국의 미국채 매입 중단으로 경제 체계가 흔들릴 수 있다. 원래는 미국이 무역을 제공하고, 무역흑자국이 미국으로 얻은 이익으로 국채를 매입하는 구조였지만, 중국이 미국채 매입을 중단하고 실물 자산과 인프라를 매입하며 Fed의 국채 매입의 부담이 증가했다.

 

4. 중산층의 몰락과 양극화, 정치 불안정성

위에서 말한 제조업 기반의 산업이 무너지면서 산업간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중산층과 상위 계층간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5. 노동 집약 산업의 몰락

4차 산업혁명이 진행되고, 자동화 혁신이 이뤄지면서 미국이 수출 시장의 진출이 가능해짐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를 버리고

달러의 가치를 내려서 수출 싸움이 가능해진다.

트럼프가 미국 기업들에게 미국으로 돌아와서 미국 일자리 만들어라고 강요하는 것도 이러한 맥락

반응형

댓글()